제 포스팅을 보시고 루팅을 시도하시는 분들이 꽤 많으시군요..

여러모로 감사를 드립니다.

하지만 벽돌 문제로 고민하시는 분들도 많으신것 같아서 간단히 벽돌에서 원상복구를 시키는 방법을 번역해보았습니다.

원문은 http://www.androidauthority.com/how-to-unbrick-your-amazon-kindle-fire-46412/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다시한번 말씀 드리지만 이 방법을 사용하시는것은 이 글을 보시는분의 선택입니다. 저는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일단 필요한 준비물은:

벽돌이 된 킨들

윈도우가 설치된 PC

Java 설치

킨들 Unbrick Utility

킨들에 최소 60%의 배터리가 남아있어야 합니다.


먼저 다운 받으신 킨들 Unbrick Utility 를 디렉토리에 푸신다음

Command Prompt 에서 그 디렉토리로 이동을 합니다.

그 다음 java -jar KindleUnbrickV1.0.jar 을 입력하신 후 엔터를 치시면 유틸리티가 실행이 됩니다.

킨들을 컴퓨터에 연결 하시고 5개의 옵션 중 자신에게 해당되는 옵션을 선택하세요.

보통은 거의 두번째 옵션인 Stuck at Logo 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선택하신 옵션에 따라서 10분정도가 소요됩니다.

처음에 실패하시더라도 몇번 해 보시기 바랍니다.




킨들 파이어가 얼마전 6.3 버전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킨들의 귀찮은 점 중 하나가 자동으로 업데이트가 되어버리고 그 후에는 루팅을 다시 해 줘야 한다는 점인데요..

어쨌던 6.3 버전을 루팅하신 분들도 많이 계시겠지만 저는 아주 힘겹게(?) 루팅에 성공을 했었어서 혹시 저같은 문제를 겪으신 분들을 위해 몇자 적습니다.

* 이 포스팅은 이미 안드로이드 SDK 가 설치되어있고 킨들 파이어와 연결에 성공 하셨다는 가정하게 적겠습니다. 저의 이전 포스팅 을 참고해주세요.

일단 간단히 6.3 버전 루팅 방법입니다. (원문출처: http://forum.xda-developers.com/showthread.php?p=24124828#post24124828 본 블로그는 원문을 번역한 후 저의 문제점 들을 해결한 방법을 제시했을 뿐입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시는것은 이 글을 보고계신 분들의 선택입니다. 저는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문제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다만 제가 도울 수 있다면 도울 뿐입니다.)

필요한 파일들:
fbmode.zip - http://forum.xda-developers.com/show....php?t=1414832
twrp2 - http://teamw.in/project/twrp2/79
su - http://dl.dropbox.com/u/8699733/kindlefire/su

일단은 폴더를 하나 만드시고 거기에 파일을 모아두시는게 편합니다.
저같은 경우 D: 드라이브에 KindleRoot 이라는 폴더에 모두 모아두고 사용합니다.

시작하기전에 킨들에 FastBood Mode 를 설치하셔야 합니다.
킨들을 연결하시고 Command Prompt 에서 다음 명령어를 차례대로 입력하세요.

adb push fbmode /data/local/tmp
adb shell chmod 755 /data/local/tmp/fbmode
adb shell /data/local/tmp/fbmode
adb reboot

킨들이 리부팅 되면서 삼각형 모양 안에 불타는 모양의 아이콘이 뜹니다. 이 부분에서 킨들이 멈추는데 놀라지 마시고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fastboot -i 0x1949 boot twrp-blaze-2.0.0RC0.img

이제 TWRP 리커버리가 설치되고 리부팅을 하라는 메세지가 나오면 Reboot 을 터치하셔서 리부팅을 해주세요.
그리고 나면 다시 이전에 삼각형 아이콘이 뜹니다.

이제 아래 명령어를 다시 차례대로 입력해주세요.

fastboot oem idme bootmode 5002
fastboot reboot

킨들의 리커버리 모드가 보인다면 다시 컴퓨터에서:

adb shell mount system
adb push su /system/xbin/su
adb shell chown 0.0 /system/xbin/su
adb shell chmod 06755 /system/xbin/su

루트 채크를 비활성화 시킵니다.

adb shell mv /system/bin/check_rooted /system/bin/check_rooted.bak

adb shell idme bootmode 4000
adb reboot

이제 슈퍼유저를 인스톨 합니다.
adb install Superuser.apk

루팅이 완료되었습니다.

잠깐~!

중간에 노란 삼각형 모양에서 혹시 킨들을 컴퓨터에서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기시는 분들은 android_winusb.ini 파일을 수정하셔서 다시 드라이버를 설치하셔야 합니다(수정된 파일 첨부합니다). 그리고 난 후 루팅을 완료하시면 다시 원래 ini 파일로 드라이버를 바꿔줘야 하는것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android_winusb_mod.inf

루팅을 하고나면 아마존 스트리밍 비디오 서비스가 작동을 하지 않습니다.
아마존 프라임에 가입되어있는 저로서는 공짜로 볼 수 있는 프로가 많기때문에 포기할 수 없는 부분이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앱이 있습니다. 바로 OTA RootKeeper 이라는 앱 입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임시 언루팅을 해주는 앱입니다. 실행후 리부팅을 해야 하는데 이때 무한 부팅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럴때는 TWRP 리커버리 모드로 부팅을 하셔서(노란 삼각형 아이콘이 보일때 파워버튼을 한번 누르시면 됩니다.)
Fix Permission 을 한번 돌려주시고 난 후 리부팅 하시면 다시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클릭한번 부탁드립니다.

요즘 차에 하나둘씩 문제가 생겨서 바꿀까 말까 고민중입니다...

일단은 연비가 좋고 크지 않으며 모냥빠지지 않는 차... 

별로 선택에 여지가 없더군요...

렉서스 CT200h와 Mini Cooper 정도를 알아보고 있는데 갑자기 눈에 띈 이 차....

  
바로 Fiat 500 Abarth 에디션...
너무 너무 귀엽습니다... ㅎㅎ
하지만 현실성은 너무 떨어집니다... 트렁크 스페이스도 없고... 연비도 딱히.... 수동이라 편하지도 않을것 같고...
Abarth Ferrari 는 반자동 트랜스미션이 있으니 더 좋겠지만 미국에 나온다는 얘기가 없으니...
 
하지만 이쁜걸~

요 작은 녀석이 160마력이라니..  
아직 캘리포니아에는 들어오지 않은것 같지만 들어오면 꼭 시운전을 한번 해보려고 합니다..
 



오랜만에 기대되는 영화가 있어서요... 3주후에 개봉 예정인 The Hunger Games 입니다.
원작 소설은 2009년에 발매되었는데요... 배틀로얄이 생각나는 스토리 입니다.
먼 미래에 미국은 사라지고 새로운 국가인 판엠... 판엠은 수도와 13구역으로 나뉘어져 있는 국가입니다.
13개의 구역은 수도에 반발하여 전쟁을 일으키지만 모두 패하고 13번째 구역은 아예 사라져 버렸지요.
이 전쟁 이후 수도에서는 다른 구역을 통제하고 다시는 반발하지 못하도록 새로운 법을 만들었는데 그것이 1년에 한번씩 열리는 Hunger Games 입니다. 각 구역에서 남자아이와 여자아이 (12-18살) 한명씩을 뽑아 경기장에 넣고(총 24명) 1명이 남을때 까지 싸움을 시키는거죠...
3편으로 이루어진 소설의 첫번째 이야기가 이번에 개봉되는 영화 입니다.
원작 소설은 잔인한 표현이 꽤 있는데 영화는 어떨지 기대가 됩니다.

+ Recent posts